우리는 지금 'R-ing형 준동사(구)'를 <부사>로 써먹는
'분사구문'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번 장에서는 '분사구문'을 사용하는 경우인
'시간', '이유/원인', '조건', '양보', '부대상황의 동시동작/연속동작' 등의
'용례'들에 대해 각각의 예문을 보면을 알아보도록 하자.
1. 시간 (~할 때)
우선 '<분사구>문'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라면
<분사구>가 대략 '시간(~할때)', '이유·원인(~때문에)', '조건(~한다면)',
'양보(~일지라도)', '부대상황의 동시동작/연속동작(~하면서/~하고나서~하다)'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청자'가 위 ⓐ 예문의 '분사구' <Walking down the street>까지만 듣게되면
'<분사구>문'임을 인식하고 대략
"거리를 따라 아래로" - '걸을 때(시간), '걷기 때문에(이유·원인)', '걷는다면(조건)',
'걸을 지라도(양보)', '걸으면서(부대상황)' 정도 일거라고 미리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고 나서 '주절'인 'I met her(과거시제)'까지 듣게 되면
앞쪽 <분사구>의 의미가
'거리를 따라 아래로' - '걸었을 때/걷고 있었을 때(시간)'라고 확정 지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똑같은 형태의 <분사구>가 경우에 따라
'시간'이 아닌 다른 의미로도 쓰일 수도 있으나
'<분사구>문'은 어느정도의 '배경 상황'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말하고 들을때 사용하는 문장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그 의미가 서로 무리없이 통하기 마련이다.
결국 ⓐ 문장은 아래와 같이 인식되게 된다.
ⓐ "걷고 있을 때 | 거리를 따라 아래로 | 나는 | 만났다 | 그녀를"
좀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게 목적이라면 ⓐ문장은
아래 ⓑ 문장과 같이 '접속사', '주어', '시제'를 명시해주는
'복문' 구조의 문장으로 바꾸어 써먹을 수 있다.
또다른 예문을 보도록 하자.
위 ⓒ 예문도 '시간'에 해당하는 <분사구>로써
해석은 다음과 같다.
ⓒ "보았을 때 | 나를 | 그는 | 달아났다 | 저멀리"
ⓒ 문장을 더욱 명확한 정보로 전달할 수 있는
'복문'으로 바꿔 표현한 문장이 ⓓ 예문이다.
2. 이유·원인 (~때문에)
'청자'가 위 ⓔ 예문의 '분사구' <Feeling tired>까지만 듣게되면
'<분사구>문'임을 인식하고 대략
"피곤함을" - '느낄 때(시간), '느끼기 때문에(이유·원인)', '느낀다면(조건)',
'느낄지라도(양보)', '느끼면서(부대상황)' 일 것이라고 미리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고 나서 '주절'인 'I went home early(과거시제)'까지 듣게 되면
앞쪽 <분사구>의 의미가
'피곤함을' - '느꼈기 때문에'라고 확정 지을 수 있게 된다.
결국 ⓔ 문장은 아래와 같이 인식되게 된다.
ⓐ "느꼈기 때문에 | 피곤함을 | 나는 | 갔다 | 집에 | 일찍"
일반적으로 '분사구문'을 배울 때는 위 ⓕ와 같은 '복문'을 먼저 제시한 후
이를 '분사구문(단문)'으로 바꿀 때에는
'종속절'에서 '접속사'를 생략하고,
'주어'가 '주절'과 같으면 생략한 다음,
'동사 또는 조동사'에 '-ing'를 붙여준다라는
기계적인 공식으로 접근하게 마련이다.
지난 장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분사구문'을
'복문→단문'의 전환 공식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이다!라고 생각하지 말고,
그냥 '분사구문'이라는 구조 자체만 가지고 독립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식에 자꾸 얽매이다 보면 '분사구문'을 볼때 자꾸
대체 어떤 '접속사'가 생략되었지?
이게 원래 '복문'이었다면 '시제'는 뭐였을까?
'주절'과 '주어'는 같은가?
와 같이 괜히 생각만 더 복잡해 지게 된다.
'분사구문'은 서로 알아먹을 조건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빨리 말하기 위해 조금 과장하면 대충 만들어 쓰는 구조의 문장이다.
<분사구>를 들은(본) 후 '주절'까지 듣게(보게) 되면
앞뒤 내용을 잘 조합해서 문장 전체의 내용을
무난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어떤 '접속사'가 생략되었을까 굳이 고민할 필요는 없다.
앞으로의 예제는 '복문'은 보지 말고
'분사구문' 자체만을 가지고 <분사구>와 '주절'의 앞뒤 관계를 잘 조합해서
전체 문장의 의미를 인식해 보기 바란다.
3. 조건 (~한다면)
ⓖ "돌면 | 오른쪽으로 | 너는 | 찾을 것이다 | 그 집을"
4. 양보 (~할지라도)
ⓘ "인정한다 할지라도 | ~것 | 니가 | 말하는 | 나는 | 아직도 | 믿지못한다 | 그것을"
5-1. 부대상황 - 동시동작 (~하면서)
우선 '부대상황'이란 용어를 보면 일본식 문법의 냄새가 진하게 풍겨서
그리 맘에 들지는 아니지만
워낙 익숙해져버린 용어라서 부득이 그대로 사용은 하겠다.
'부대(附帶; 붙일 부, 띠 대)'라는 것은 말 그대로 "띠를 붙이다"라고 풀이되는데
'어떠한 상황을 갖다 붙인다'라는 의미에서 '부대상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 같다.
하지만 굳이 '부대상황'이란 말은 필요 없어 보인다.
그냥 '동시동작(또는 동시에 일어나는 일)' 및
'연속동작(또는 연속으로 일어나는 일)'이라고해도 충분이 이해가 되기 때문이다.
매번 언급하지만 어떠한 용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당 '용어'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여
나중에는 그 '용어'가 필요없을 정도로 자기의 뇌와 몸에 흡수해 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부대상황의 동시동작'을 사용한 예문을 보도록 하자.
ⓚ "들으면서 | 음악을 | 그는 | 공부했다 | 영어를"
5-2. 부대상황 - 연속동작 (그리고 ~하다)
이번에는 '부대상황의 연속동작'을 사용한 예문을 보도록 하자.
ⓜ "우리는 7시에 버스를 탔고 | 11시에 서울에 도착했다"
일반적으로 '분사구문'에서는
<분사구>를 먼저 써준 다음에 '주절'을 써주는 구조가 보통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뉘앙스와 강조점을 달리하고자 할 때는
'주절' 다음에 <분사구>를 써줄 수도 있다.
하지만 위 ⓜ 예문과 같이
'부대상황의 연속동작'을 표현하는 '<분사구>문'에서는
시간의 순서가 있으므로
'주절'을 먼저 써주고 나중에 일어난 일을 <분사구>로 써주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