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는 '절(Clause)'에 대해 배워볼 텐데
우리는 이제 '절'하면 반드시 즉흥적으로 뭔가를 떠올릴 줄 알아야 한다.
'절'하면 바로 '정형 동사'를 떠올려야 하고,
'정형 동사'하면 '2시제'를 떠올릴 줄 알아야 한다.
이를 떠올릴줄 안다면 엄청나게 중요한 아래의 원리도 모를리 없을 것이다.
★ 하나의 '절'에는 '2시제'를 갖는 '정형동사'를
반드시 하나만 써야한다 ★
'절(Clause)'의 개념을 정의해보면
'(정형동사를 포함하는) 동사 (덩어리)'와 '주어'를 한 쌍의 기본 조합으로 하는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절(주어+동사)'은 단독으로 하나의 '문장(Sentence)'을 만들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의 '절(주어+동사)'을 '접속'해서 하나의 '문장'을 만들 수도 있는데
이때는 반드시 '절'과 '절' 사이에 '접속사'를 사용해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만약 더욱 단순하고 빨리 말할 수 있는 문장을 원한다면
하나의 '절'에 있는 '정형동사'에 'to' 또는 '-ing'를 갖다 붙여서
'준동사 덩어리(구)'로 만들어 '명사, 형용사, 부사'로 써먹으면 된다고 하였다.
2개 이상의 '절'을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등위적(같은 위상)'으로 접속하는 방법('등위접속사' 사용)
(2) '종속적(상하위 계층 구조)'으로 접속하는 방법('종속접속사' 사용)
위 (1)의 방법으로 접속하는 '절'들을 '독립절'이라고하고,
(2)의 방법으로 접속되는 '절'들을 각각 '주절(상위)'과 '종속절(하위)'이라고 칭한다.
위 두 가지 방법에 대해서는 바로 다음 장인 '문장(Sentence)'을 다룰 때 설명하도록 하겠다.
아래의 그림은 하나(단독)의 '절'로 구성된 문장의 구조인데
이를 통해 지금까지 배워온 '용어'들을 다시 정리해 보는 기회를 갖도록 하자.
하나의 '절'은 반드시 '주어' 하나와 '동사(술어)' 하나를 가지므로
위와 같이 '절'은 크게 '주부(주어 포함)'와 '술부(술어 포함)'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장은 이 정도에서 간단히 마치기로 하고
'절'에 대해 더욱 자세한 내용은 바로 다음 장에서 다룰
'문장'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