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27일 목요일

[052]'문장(Sentence)' - '절(왕국)'들의 접속

6b16a6b4c860c4f116bfc1b20db1027d_1436343

'문장(Sentence)'이란 '표현(또는 진술)'의 완결 단위로써, 하나 이상의 ''로 구성된다.

''은 그 자체로써 하나의 완결된 문장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장은 '단문(Simple Sentence)'이라 칭한다.

2개 이상의 ''을 함께 사용하여 하나의 완결된 문장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2개 이상의 '(정형동사가 포함됨)'을 함께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접속사'를 사용하여
''과 '' 사이를 접속해 주어야 한다.

''과 '' 사이를 '(같은 높낮이)'으로 '접속'해 줄 때는 '등위 접속사'를 사용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문장은 '중문(Compound Sentence)'이라 칭한다.

''과 '' 사이를 '주·(또는 상위·하위)의 관계로 '접속'해 줄 때는 '종속 접속사'를 사용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문장은 '복문(Complex Sentence)'이라 칭한다.

그럼 예문을 통해서 위 용어와 개념들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해 보도록 하자.


  1. 단문 (하나의 ''로 이루어짐)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1) 예문은 '하나(단독)'의 '(독립)'로 이루어진 '단문'이다.
이 문장에서의 정형동사는 'work' 하나이고 '현재 시제'를 표시하고 있다.


  2. 중문 (2개 이상의 독립된 ''이 등위적으로 접속됨)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2) 예문은 '2개'의 '(독립)'로 이루어진 '중문'이다.
이 문장은
앞쪽에 있는 동사 덩어리 'is watching'이 이끄는 하나의 독립된 ''과
뒤쪽에 있는 동사 덩어리 'is working'이 이끄는 하나의 독립된 '' 사이를
등위 접속사 'and'로 '접속'해 주고 있는 구조이다.
또한 앞쪽의 정형동사 'is'와 뒤쪽의 정형동사 'is'는 모두 '현재 시제'를 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중문' 구조는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용어'의 의미만 제대로 알게 된다면
수월하고 정확하게 문장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중문'은 2개 이상의 '독립절'이 '접속'된다고 하는데
말 그대로 '독립'된 '' 즉 '주어'와 '정형동사'를 빠짐없이 가지는 완전한 '왕국'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등위 접속사'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등위(等位)'의 의미는
'같은 위치/수준/높낮이'에 있다는 것이다.
즉 누가 높은 위치에 있고 또는 누가 낮은 위치종속하는 것이 아니라
똑같은 힘을 가지는 2개의 '왕국'을 서로 '접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2) 예문의 그림에서도
같은 레벨(계층)의 '기준선'에 맞추어 '도형마크'를 그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독립된 '왕국'과 '왕국' 사이에는 반드시 '경계선(국경선)'을 그어 주어야 하듯이
중문에서도 독립된 ''과 '' 사이에는
'등위 접속사'와 함께 ',(콤마)'를 찍어주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즉 ',(콤마)'를 찍어줌으로써 앞쪽뒤쪽의 ''이 독립되었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내 주는 동시에
의미적으로도 한번 분리를 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과 '' 사이가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충돌 또는 혼란의 여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콤마)'를 찍어준다라고 할 수 있다.


  3. 복문 (상위의 ''에 하위의 ''이 종속적으로 접속됨)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3) 예문은 앞쪽의 'My mom expects that'에
뒤쪽의 'that I will succeed in the end'가 '종속'으로 '접속'된 '복문'의 구조이다.
앞뒤 ''에서의 '정형동사'는 각각 'expects'와 'will'로써 모두 '현재 시제'를 표시하고 있다.

위 (3) 예문에서는
앞쪽 동사 'expects'의 '목적어'로
[ that I will succeed in the end ]라는 [명사 절]이 통째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인데,
이렇게 어떠한 상위 요소종속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을 '종속'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상위 계층'에 있는 ''을 '주절'이라고 칭한다.
즉 '상위 계층'에 있는 '왕국(주절)'에
'하위 계층'인 '종속(종속)'이 속해 있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그래서 '종속 접속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위 계층'의 '주절'과 '하위 계층'의 '종속'의 개념은
위 (3) 예문에 그려진 '도형마크'들이
서로 다른 '레벨(계층) 기준선'에 그려져 있을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주절'인 'My mom expects that'은 더 '상위 계층 기준선'에 그려져 있고
'종속'인 'that I will succeed in the end'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하위 계층 기준선'에
그려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속 접속사 'that'은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을 '접속'해 주는
'중간 매개체'로써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예문을 각각의 '' 단위로 분석한다면
'주절' 쪽은 'My mom'을 '주부'로,  'expects that'을 '서술부'로 나눌 수 있고,
'종속절' 쪽은 'I'를 '주부'로,  'will succeed in the end'를 '서술부'로 각각 나눌 수 있다.

(3) 예문을 '전체 문장' 단위로 분석한다면
'My mom'을 '주부'로,  'expects that I will succeed in the end'를 '서술부'로 나눌 수 있다.

(2) 예문과 같은 '중문'과는 달리 (3) 예문과 같은 '복문'에서는
'종속 접속사' 앞에 ',(콤마)'를 찍어주지 않는 것이 기본 원칙인데
'종속절'은 '상위 계층'의 어떠한 요소에 자연스럽게 흡수되는 개념으로써
의미적으로도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통 ',(콤마)'는 의미적으로 한번 분리시켜 주능을 하기 때문에
'종속절' 앞에는 ',(콤마)'를 찍어 주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만약에 위 (3) 예문을 더욱 단순하고 빨리 말하기를 원한다면
아래 (4)와 같은 문장으로 만들어 써먹으면 된다.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4) 예문에서의 'to succeed'는 '준동사 덩어리'로써
'(정형동사 포함)'의 개념이 아닌 '준동사 '의 개념이기 때문에 '접속사'를 써줄 필요가 없다.
즉 (4) 예문은 하나의 ''로 이루어진 하나의 '문장(단문)'인 것이다.
물론 정형동사도 'expects' 하나이고 '현재 시제'를 표시하고 있다.

위 (4) 예문은
주어 'My mom'이 행위 주체동사 'expects'에 'me'라는 목적어가 결합하고,
또다시 목적어 'me'가 행위 주체준동사 덩어리 'to succeed'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만들어낸
문장구조이다.
이러한 문장의 구조는 동사 'expect'가 의미적으로 '목적어'와 '목적어보어'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확장타동사(5형식동사; 불완전타동사)'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들어 써먹을 수 있는 구조이다.

약간은 다른 문장의 예로
아래 (5)와 같은 문장을 더욱 단순하고 빨리 말하기를 원한다면
아래 (6)과 같은 문장으로 만들어 써먹으면 될 것이다.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6) 예문은
주어 'I'가 행위 주체동사 'expects'에 준동사 덩어리 'to succeed'를 '목적어'로 결합하였는데
이때는 'to succeed'의 행위 주체가 이미 앞서 나온 주어 'I'이기 때문에 써주지 않은 것이다.

위 (4), (6) 예문과 같은 '단문'의 구조라 하더라도
'준동사 (덩어리)'가 사용되었다면 자체적으로 '작은 조직체' 정도는 이룰 수 있으므로
'준동사'에 딸리는 '목적어, 보어, 수식어'를 가질 수 있다 (단, '주어'와 '정형동사'는 가지지 못함).
따라서 (4), (6) 예문의 그림과 같이 '상하위 계층 구조'를 가지는 문장이 되는 것이다.


'종속'이라는 용어에 '종속'이라는 단어가 들어갔다고 해서 항상 '뒤쪽'에 써주는 것은 아니다.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7) 예문은 '종속절'인 'Whether he will come or not'을 '주어'로 사용한 경우이므로
'동사'의 앞쪽배치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처럼 하위 계층의 '종속절'이라고 해서 항상 '뒤쪽'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종속절'이 '주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 중 어떠한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위 (8) 예문에서는 '종속절'인 'When Suzi comes home'을 '부사어'로 사용하였는데
'종속절'이 '부사절'인 경우에는 위와 같이 문장맨 앞쪽에 써줄 수가 있다.
('부사, 부사구, 부사절' 등은 상황에 따라 기본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보통은 (8) 예문과 같이 '종속절'이 '주절'의 '조건절'이거나 '강조'를 해 주려고 할때
이렇게 문장 앞쪽에 써주는 것을 선호한다.
대신 이때는 '종속절' 다음에 ',(콤마)'를 찍어주는 것이 원칙이다.

왜냐하면 원래의 원초적문장 구조순서는 아래 (9) 예문과 같이
상위 계층의 '주어'와 '동사'를 먼저 써 주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기본에서 벗어나 '부사절'을 앞쪽에 써주었다는 표시로 ',(콤마)'를 찍어주는 것이다.
(순서의 언어인 영어에서는 어떠한 요소가 기본 위치에서 이동하게 되면
대부분은 '이동하였다는 흔적'을 표시해 주기 마련이다.)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9) 예문은 원초적문장 구조순서에 맞게 '종속절<부사절>'을
상위 계층의 '주어'와 '동사' 다음에 써주었기 때문에
'종속절' 앞에 ',(콤마)를 찍어주지 않는 것이다.
',(콤마)'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하게 다룰 기회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접속사' 그림을 그리면서 해당하는 '도형'을 소개해 드리지 않았는데
'접속사'를 표시하는 '도형' 및 해당 모양으로 디자인하게 된 배경을 제시해 드리도록 하겠다.


fde440aa3c2ac39d7be31adc5728c971_1435039



'접속사'를 표시하는 '도형'에 대해서는 위의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접속사'하면 우리가 반드시 즉흥적으로 떠올릴 수 있어야 하는 사항으로
'종속 접속사'가 이끄는 '종속절'은 [명사] 또는 <부사> 역할을 수행하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종속절'은 당연히 '주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 역할로 써먹을 수 있다는 것도
이제는 바로바로 연상해 낼 줄 알아야 하겠다.

여러가지 '등위 접속사' 및 '종속 접속사'에 대해서는 '접속사'를 다룰때에 자세하게 다루겠지만
'종속 접속사'라고 불리는 것들만 '종속절'을 이끄는 것은 아니다.
'종속 접속사' 이외에도 '관계사', '의문사', '복합관계사' 등도 '종속절'을 이끌면서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 역할을 수행해 낼 수 있다.
사실 이들의 '원래 본질(품사)'은 '종속 접속사'가 아닌 '대명사, 형용사, 부사'이지만
'종속 접속사' 역할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종속 접속사, 관계사, 의문사, 복합관계사' 들이
'종속절'로써 각각 어떠어떠한 '품사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조만간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다.

641acaedf5df64effba3cd5914589452_1434890
 
지금까지는 ''과 '' 사이를 접속하는
'등위 접속사' 및 '종속 접속사'에 관련된 예문들만을 살펴보았는데,
때로는 '접속사'가 '(주어 동사가 포함된) '이 아닌
특정한 요소(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구)들 사이접속해 주는 경우도 있다.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위 (10) 예문은 단순히 '명사[Tom]'와 '명사 [John]' 사이를 '접속사'가 접속해 주고 있는데
이렇게 ''과 ''을 접속하는 경우가 아닐 때에는
'등호(=)'나 ''모양이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접속사' 표시 도형인 모양으로 그려주면 되겠다


4. 혼합문 ('복문'과 '중문'의 혼합)


6002d5e2c72f8a5aeffd56065e19c353_1434674

어떠한 경우에는 위 (11) 예문과 같이 '복문'과 '중문'의 개념이 혼합구조
문장을 만들어 써먹을 수도 있다.
위 예문을 통해 '종속 접속사'와 '등위 접속사'가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를 확인하고
상하위 계층 구조는 어떻게 차이를 두었는지 확인해 보기 바란다.
또한 '등위 접속사' 앞에 ',(콤마)'를 찍어 준 이유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앞서 충분히 설명히 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