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27일 목요일

[056]'수여 타동사' - 4형식 동사(수여동사)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이번 장에서는 우리가 흔히 '4형식동사' 또는 '수여동사(Dative Verbs)'라고 부르는
'동사'의 한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앞서 정리해 드렸던 '동사'의 유형들을 다시 한번 상기해 보도록 하자.
( [012장] '동사'의 유형 중간 정리 참고 )
<그림 1>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그림 2>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 위 <그림 2>에서 원문자 ①~⑤는 '1형식~5형식 동사'를 의미함.
 
우선 영어의 모든 동사는 위 <그림 1>과 같이 '일반동사' 또는 'be동사②' 둘 중 하나에 속한다.
 
'일반동사'는 '목적어(객체)'를 필요로하는 '타동사 ③,④,⑤'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①'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일반동사' 중에서는 특이하게 'be동사'처럼 '보어'를 필요로하는 '동사'가 있는데
이를 '연결동사(Linking Verbs)②'라 한다.
 
우리는 앞서 'be동사', '타동사', '자동사①, 연결동사'에 대해서는 알아보았고,
'타동사' 중 흔히들 '4형식동사(수여동사)④', '5형식동사(불완전타동사)⑤'로 불리우는
것들에 대한 설명은 잠시 미루어 두었었다.
 
이번장에서는 '4형식동사(수여 타동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수여 타동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은
앞선 '[033장] 수동태의 여러 가지 쓰임 - 1'에서 이미 설명해 드린바 있으니
그 부분도 참고해 주시기 바란다.
 
'수여 타동사'의 개념을 다시한번 정리해 드리자면
'수여 타동사'를 별도로 구분되는 독립적인 하나의 '동사유형'으로 보지말고
<그림 2>와 같이 그냥 '객체(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 에 속하는 '동사'를 사용하여
문장구조를 약간 '변형(응용)'해서 써먹는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보다 더 쉽고 깔끔하게 정리된다.
보통은 '수여동사'라고 칭하지만 '그리기영문법'에서는
어차피 '타동사'에 속한다는 것을 부각시키기 위해
'수여 타동사'라고 칭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아래 예문을 보도록 하자.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위 ⓐ 예문에서의 'give'는 '주다/전달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타동사'로서
'행위'에 대한 '직접적(1차적)인 '객체'는 실제로 '전달/이동'되는 'pencil'임을 알 수 있다.
즉 'give'는 '객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임에는 틀림없다.
그런데 'give'와 같이 '주다/전달하다'식의 의미를 가진 타동사
'받는 대상'도 반드시 존재하기 마련인데
위 ⓐ 예문에서는 'me(나)'가 바로 '받는 대상'이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바로 ⓐ 예문과 같이
타동사 'give'의 '목적어(객체)'로 'a pencil'을 결합해 주고
'받는 대상'은 전치사 'to'와 함께 <부사구>로 써주는 구조의 문장을 써먹었을 것이다.
(전치사로는 대부분 'to'가 쓰이지만 'for' 또는 'of'를 쓰기도 한다)
 
즉 '수여 타동사 + 객체(전달되는 것) + <to + 받는대상>'과 같은 패턴고정적으로 사용했을 것이다.
인간은 똑같은 구조를 끊임없이 사용하다보면 너무나 익숙해 지기도 하고 식상해 하기 마련이다.
특히 <to/for/of + 받는대상> 부분의 전치사로는 언제나 'to/for/of'를 써주기 때문에
그냥 빼버려도 알아차릴 만큼 익숙해져 버린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위 ⓑ 예문처럼
<to + 받는대상>에서 '받는대상'을 그냥 '수여 타동사'의 바로 뒤쪽에 써주고
그 뒤에 '직접적인 객체'를 써주는
또다른 구조문장도 만들어 써먹게 되었는데 바로 우리가 말하는 '4형식' 구조의 문장인 것이다.
이때 '수여 타동사'의 뒤쪽에 써주는 '받는대상'은
간접적인 목적어라 하여 '간접목적어'라고 칭하게 되었다.
'(수여) 타동사' 하나에 '목적어(객체)'가 2개 결합하는 구조의 문장도 만들어 써먹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수여 타동사'를 'Ditransitive Verbs(Di : 두 개, Transitive : 목적어)' 또는
'Two-Place Transitive Verbs' 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는 '부사어(수식어)'이던 것을 '타동사 (간접)목적어'로 '승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간접목적어' 표시 마크의 모양을
'부사' 표시 <> 또는 ''의 ''모양과  '목적어' 표시 를 합성한 모양인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8 으로 디자인하게 되었다는 것은 [033장]에서도 이미 설명 드린 바 있다.
인간들은 문장구조가 조금이라도 다르면 '뉘앙스'라도 차별을 주어 사용하려고 한다.
문장의 '맨앞' 또는 '맨뒤'에 써주는 것은 튀어보이기 때문에
무언가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맨앞' 또는 '맨뒤'에 써주는게 효과적이다.​
그래서 ⓐ와 같은 구조는 '받는대상'인 <to me>강조하기 위해서
반면 ⓑ 와 같은 구조는 '이동/전달되는 대상물'인 [a pencil]강조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
'수여 타동사'를 다룰 때에는 항상 '수동태 문장으로 변환'하는 방법이 중요시 다루어지는데
위 ⓐ, ⓑ 예문과 같이 '2가지'의 문장 구조를 만들어 써먹었기 때문에
해당되는 '수동태 문장'의 구조도 각각 달리 만들어 써먹게 되었다.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위 ⓒ 예문('수여타동사'로 사용)의
직접목적어 'me'를 '주어'로 삼아(초점을 두어) 만들어 쓰는 문장이 ⓓ 예문이고,
ⓒ 예문의 간접목적어 'a pencil'을 '주어'로 삼아 만들어 쓰는 문장이 ⓔ 예문이다.
 
다른 한편
ⓕ 예문(그냥 '타동사'로 사용)의 직접목적어 'a pencil'을 '주어'로 삼아 만들어 쓰는 문장이 ⓖ 예문이고,
ⓕ 예문에서 <부사구> 속의 '받는 대상'을 '주어'로 삼아 만들어 쓰는 문장이 ⓗ 예문이다.
단 ⓗ와 같은 구조는 '전치사'가 달랑 홀로 남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 문장이다.
 
'수여타동사'의 '진정한 객체'는 실제로 '전달/이동되는 대상', 즉 '직접목적어'이다.
따라서 '직접목적어'를 '주어'로 삼는 '수동태' 문장으로는 거의 대부분 만들어 써먹을 수 있다.
 
하지만 '간접목적어'는 아무래도 '간접적(2차적)'인 대상이므로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삼는 '수동태' 문장은
'의미적'으로 매우 어색하기 때문에 만들어 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위 ⓙ, ⓚ 예문을 해석해 보면
 
ⓙ "연필은 사졌다 나에게 | 수지에 의해"
ⓚ "나는 사졌다 연필을 | 수지에 의해"
ⓙ 예문은 '의미적'으로 크게 어색하지는 않다.
반면 ⓚ 예문은 "나는 사졌다"라는 의미가 되어 매우 어색하기 때문에 만들어 쓰지 않는 문장이다.
이렇게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삼아 문장을 만들어 써먹을 수 없는 '수여타동사'로는
아래와 같은 단어들이 있다.
 
"buy, make, do, sell, sing, write, …" 등이 있다.
기계적으로 외우려 하지 말고 위 동사들과 함께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삼는 문장을 만들어 보았을 때
'의미적'으로 어색하다는 것을 몸으로 느껴서 체득하시기 바란다.
 
'수여타동사'의 '수동태' 문장 원리에 대해서는 [033장]에 더욱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라며,
사용시 주의해야 할 까다로운 '수여타동사'들이 몇 개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보충>강의를 통해 다루도록 하겠다.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마지막으로 '수여타동사'가 아닌 '그냥 타동사'로 문장을 만들 때
'받는대상'과 함께 써주는 전치사 'to / for / of'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다.
 
전치사 'to'를 써주는 경우는 주로 단순히 '이동/전달'을 하는 경우에 써먹는다.
거의 대부분 전치사 'to'를 사용하므로 별도로 단어들을 나열해 드리지는 않겠다.
전치사 'for'를 써주는 경우는 주로 '뭔가를 해서' 또는 '~를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하는 경우에 써먹는다.
해당되는 '타동사'는 다음과 같다.
"buy, make, do(베풀다), choose, find, build, order,
get, cook, leave, reserve, save(남겨놓다), spare, …" 등이 있다.
 
이또한 맹목적으로 외우려 하지 마시고 예문을 통해 의미들을 느껴보시기 바란다.
 
전치사 'of'는 타동사 "ask, inquire, require" 등을 사용할 때 써먹는다.
왜 이러한 동사들에는 전치사 'of'를 사용할까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보면
동사들은 '{타인에게 뭔가를} 요구하다'라는 의미로서
'타인에게서 무언가가 나오기'를 ​바라는 의도를 전달하는 경우이다.
예문을 통해 설명해 드리겠다.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위 ⓛ 예문은 '(he)'에게서 'serveral questions'에 대한 답변나오기를 바라는 문장이다.
이에 대해 전치사 'of'하면 떠올려야 하는 그림을 다시 보도록 하자.
 
71bb14985e1faf08901c36bc9b3281f3_1438317 
 
 전치사 'of'는 위 그림처럼 어떠한 것(A)에서 일부분(a')이 떨어져 나왔다는
'원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해 드린바 있다.
(전치사 'of'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044강]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 때문에 'ask, inquire, require'와 같은 타동사에는
전치사 'of'를 사용한다고 기억하면 무리가 없을 것 같다.
 
이번 장에서는 '타동사' 문장 구조를 약간 변형시켜 사용하는 개념인
'수여타동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타동사' 문장 구조를 확장시켜 사용하는 개념인
'확장타동사(5형식동사; 불완전타동사)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