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는 'to R형 준동사(to 부정사)'의
'부정' 및 '분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1. 'to R형 준동사'의 '부정'
어떠한 요소를 '부정'한다는 것은
'부정'의 의미를 가진 '부사어'로 해당 요소를 '수식'해 준다라고 할 수도 있다.
그 '부사어(수식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not', 'never' 등이다.
앞서 배웠듯이
'수식하는 단어(수식어)'는 '수식 받는 단어(피수식어)'에
최대한 가까이 인접해서 꾸며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 [016장], [017장] 참고 )
위와 같은 가장 원초적인 원리에 따라
'to R형 준동사(피수식어)'의 '부정어(수식어)'는
기본적으로 'to' 바로 앞에 위치시킨다.
왜냐하면 'to R'이라는 '한덩어리'의 바로 앞뒤에 붙여주면 되는데
다름아닌 'to R형 준동사'를 '부정'한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to'와 가까운 앞쪽에 붙여 주는 것이다.
예문들을 보도록 하자.
위 ⓐ, ⓑ 예문을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 "그녀는 | 노력했다 | 웃지 않으려고"
ⓑ "그녀는 | 노력하지 않았다 | 웃으려고"
위 해석과 같이 부정어 'not'을 어떤 위치에 놓느냐에 따라
두 문장의 의미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문장의 경우 [to smile]이라는 'to R형 준동사 덩어리'를 '부정'해 주는 것이고,
ⓑ 문장의 경우는
(일반)동사 'try'를 '부정'하기위해 '조동사 do'를 내세워 거기에 'not'을 붙여준 것이다.
위 ⓒ, ⓓ 예문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 "너는 웃지 말아야 한다"
ⓓ "너는 웃지 않아도 된다"
위 ⓒ 문장은 'to smile' 바로 앞에 <not>을 붙였으므로
'웃는 것'을 부정하게 되어 "웃지 말아야 한다"로 전달되고,
ⓓ 문장은 'have to smile' 부분 즉 '웃어야 한다'를 부정하게 되어
"웃지 않아도 된다" 또는 "웃을 필요는 없다" 정도로 전달되게 된다.
위 예문들과 같이 부정어 'not'을 어디에 붙이느냐에 따라
그 의미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겠다.
'to R형 준동사'를 '부정'하는 예문을 몇가지 더 보도록 하자.
위 ⓔ, ⓕ, ⓖ 예문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 "나는 | 말했다 | 그에게 | 하지 말라고 | 그것을"
ⓕ "나는 | 말했다 | 그에게 | 결코 말하지 말 것을 | 거짓말을 | 다시는"
ⓖ "나는 | 정했다 | 거시기를 | 규칙으로 |
{그런데 그 거시기는} 결코 먹지 않는 것이다 | 식사 중간에"
2. 'to R형 준동사'의 '분리' (분리 부정사)
일단 예문을 보면서 시작하도록 하자.
위 ⓗ 문장에서 알아야 하는 부분은
부사어 <completely>가 과연 앞쪽의 동사 'failed'를 수식해 주는지?
아니면 뒤쪽의 준동사 'to solve'를 수식해는지를 분간할 줄 알아야 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동사 'failed'를 수식해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 문장에서 중요한 단어라면 '상위계층'에 위치하는 동사 'failed'인데다가
<부사>는 '동사'를 바로 뒤에서 수식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에도 맞아 떨어진다.
또한 'completely to solve' 부분에서는
'completely'와 'solve' 사이에 'to'라는 단어가 끼어 있으므로
바로 인접하지 않는 'solve'를 수식하는 것으로 인식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 ⓗ 예문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 "나는 | 완벽하게 실패했다 | 그 문제를 푸는 것을"
그렇다면 위 ⓘ, ⓙ와 같은 문장은 어떨까?
<부사어>는 상황에 따라 그 위치를 옮겨 쓸 수 있기 때문에
ⓘ, ⓙ 예문에서는 부사어 <completely>가
동사 'failed'를 수식하는지? 준동사 'to solve'를 수식하는지
모호하게 전달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이는 '전후문맥'과 '배경상황'을 모른다면 판단해 내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failed'를 수식하는 방법으로는 위 ⓗ 예문과 같은 구조가 분명히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 ⓙ 문장에서의 <completely>는 'to solve'를 수식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보편적이기는 하다.
한편 '그리기영문법'을 이용하면 그러한 모호함을 명확히 할 수는 있는데
<completely>의 '부사 표시 도형'을
ⓘ 문장처럼 'failed'와 같은 상위 Level에 그려주면 'failed'를 수식하는 것으로
ⓙ 문장처럼 'to solve'와 같은 하위 Level에 그려주면 'to solve'를 수식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표시해 줄 수 있다.
영어 문장 구조에서 '계층(Level)'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다시 한번 보여드린 셈이 되었다.
좌우지간 위 ⓘ, ⓙ와 같은 문장은 모호한 의미를 전달할 우려가 있기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이 생각해낸 '꼼수'가 바로
위 ⓚ와 같이 부사어 <completely>를
'to R형 준동사'의 'to'와 'R(동사원형)' 사이에 집어 넣어버리는 방법이다.
그리하면 누가봐도 'to solve'를 꾸며준다는 것이 극명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 예문을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나는 | 실패했다 | 그 문제를 완벽하게 푸는 것을"
즉 ⓚ 문장은 '문제를 풀기는 했는데 완벽하게 풀지는 못했다'라는 의미로
전달되는 것이다.
위 ⓗ 예문과는 의미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이렇게 'to'와 'R(동사원형)' 사이에 <부사어>를 끼어넣어
둘 사이를 '분리'시켰다고 하여
이를 '분리 부정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와 같은 방법(분리 부정사)은
원래의 기본적인 문법에는 맞지 않아서
말그대로 '꼼수'로 받아들이는 시각도 많기 때문에
모호함의 여지가 없거나 정말 명확하게 강조하여 전달할 의도가 아니라면
ⓚ 문장과 같은 구조(분리 부정사)의 사용은 되도록 자제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 문장은 ⓙ 문장과 같이 써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또다른 예문 한세트를 더 보면서 정리해 보도록 하자.
위 ⓛ, ⓜ, ⓝ 예문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 "그는 | 조용하게 준비했다 | 그녀와 동행할 것을"
ⓜ "그는 | 준비했다 | 그녀와 동행할 것을 | 조용히"
ⓝ "그는 | 준비했다 | 조용하게 동행할 것을"
위 ⓛ 예문에서는 <silently>가 동사 'prepared'를 수식해 주는 것이고,
ⓜ, ⓝ 예문에서는 <silently>가 'to accompany'를 수식해 주는 것이다.
위 ⓜ과 ⓝ 예문의 의미는 거의 비슷하기는 하지만,
문법을 엄격하게 따른다면 ⓜ 문장을 사용하고
"그녀와 조용히 동행(accompany)할 것"을
명확하게 강조하여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 문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